최근 유기농, 천연, 자연화장품 등 다양한 화장품의 카테고리가 생기고 있지만 식품과는 달리 여전히 정의나 기준이 세워져 있지 않아 소비자들의 혼란이 가중되고 있습니다.   

 

유기농은 내추럴 퍼스널 케어 분류에서 가장 작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나 2001~2006년 사이에 많은 나라에서 지속적으로 강한 성장을 보였지요. 특히 유기농 시장의 성장에 대해 전문가들은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 변화가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하고 있습니다. 즉 과거에 비해 식생활이 풍족해지고 건강과 삶의 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것이 유기농 시장의 성장 동력이라는 것이지요.

 

미국과 유럽의 유기농 식품 시장이 2000 175억 달러에서 2005 340억 달러로 성장함과 동시에, 유기농 퍼스널 케어 시장 역시 크게 성장하고 있구요. 데이터 모니터에 따르면 유기농 퍼스널 케어 시장은 미국과 호주를 중심으로 전세계적으로 평균 5%이상의 성장을 지속해오고 있습니다. 결과적으로 미국과 유럽의 유기농 퍼스털 케어 시장 규모는 2001 2 4100만 달러에 비해 2006 3 4900만 달러로 약 44%의 높은 성장세를 보였습니다. 전문가들은 아시아-태평양 시장 역시 미국과 호주의 사례서와 유사한 성장 패턴을 보일 것으로 예측하고 있구요.

 

국내 유기농 화장품시장도 크게 성장하고 있지만 유기농 화장품 시장의 규모 및 성장과 관련해 정부나 관련 단체 차원에서 구체적인 통계는 없습니다사실 유기농 화장품에 대한 가이드라인 마련을 위해 지난 2 10여 개 소비자 단체와 협회, 그리고 정부는 간담회를 가졌지만 실천적인 부분에서 입장차이에 의해 구체적인 방안이 제시되지는 못했다고 합니다.

  

한편 소비자시민모임의 김자혜 사무총장은 “현재 유기농, 천연 등을 내세운 화장품에 대해 안전성 및 효과성 검증이 이뤄진 바가 없다”며 “유기농 화장품의 성분 함량기준이나 구분이 명확하지 않아 실제로 유기농 혹은 천연 성분이 미량 있음에도 모두 유기농이라고 일컬어지고 있다”고 지적하며, “결과적으로 화장품에서도 표시기준 자체를 만드는 것이 필요하다”고 밝혔습니다. “식품과 같이 유기농을 구분할 수 있는 기준이 있다면 이를 참고해 유기농 제품에 대한 판단 기준을 제시하고 결과적으로 소비자들이 보다 안심하고 제품을 구입해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고 덧붙였다고 해요. 

 

식약청 및 화장품 업계에 따르면 식약청은 유기농 화장품에 대한 국내 인증 도입을 요구하는 업계의 건의에 따라 유기농 화장품 인증 기준을 연내 마련키로 했다고 하구요. 식약청 관계자는 "급성장하는 유기농 화장품 시장에서 국내 업체들도 다국적 기업과 함께 경쟁할 수 있도록 유기농 화장품 시장 관련 기준이 필요하다는 업계 건의에 따라 관련 규정 마련을 추진하고 있다" "인증 방식이 될지는 정해지지 않았지만 유기농 화장품 관련 가이드라인을 연내 선보일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유기농 화장품은 유기농으로 재배한 성분을 바탕으로 특정 기준의 유기농 공정 과정을 충족하며 생산된 제품으로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인증기관이 있다. 프랑스의 에코서트(EcoCert), 영국의 소일 어소시에이션(Soil Association), 뉴질랜드의 바이오 그로(Bio-Gro), 호주의 ACO 등이 대표적인 인증기관입니다. 그러나 국내엔 관련 인증이 없어 국내 화장품 업체가 제대로 된 '유기농 화장품'을 선보이기 위해서는 해외 인증에 의존해야하는 실정이구요.

 

최근 아모레퍼시픽(822,000 12,000 +1.5%)의 브랜드숍 화장품 이니스프리가 선보인 유기농 화장품 '에코레시피 라인'은 유럽 에코서트로부터 인증을 받은 경우. 이니스프리는 유기농 화장품 인증을 받기 위해 까다롭기로 정평이 나 있는 프랑스의 에코서트에 인증을 신청, 6개월간의 복잡한 심사 과정을 거쳐 최근 인증을 받았습니다. 그러나 타국에서 인증을 받기 위해 적잖은 비용을 치러야했구요.


해외 유기농제품 인증제도 

에코서트는 유럽 공동체인 EU 법률에 의거해 유기농 품질관리에 대한 규정에 따라 검사하고 농산물 및 그 가공품이 유기농 규정을 준수하는지 여부를 인증해주는 민간기관입니다. 에코서트에서 유기농 제품 인증을 받으려면 95% 이상 천연 내추럴 성분함유, 10% 이상 오가닉 성분을 함유, 실리콘과 같은 지정 화학성분 금지 등 인증 기준을 충족해야합니다.

(유기농 화장품의 해외인증제도에 대해 더 알고 싶다면 여기를 클릭!)

 

이번 리뷰를 준비하면서 프레쉬(Fresh)를 친환경 브랜드라고 불러도 될지 고민이 많았지만, 천연성분을 활용한다는 측면에서 보자면 넓은 의미의 친환경 브랜드에 속한다고 보아도 무방하겠습니다. 고가인 때문에 대중적이진 않지만 천연성분에 의한 기능성이 탁월해 여성들이 선망하는 브랜드 중 하나이지요. 최고품만을 애용한다는 프랑스 LVMH그룹의 베르나르 아르노 회장이 프레쉬 제품에 매혹돼 급기야 2000년에는 제품연구 및 유동 등에 동업 관계를 요청해 와서 계약했다고 알려집니다.

 

프레쉬의 창시자는 헝가리 태생으로 미국에 어릴적 이민을 온 레브 글레이즈먼과 알리나 로이트버그 부부입니다. 상트페테르부르크 태생의 남편 글레이즈먼씨는 19세에 미국 보스턴으로 이민온 뒤 결혼 전까지 치과 기공사로 일했다고 합니다. 아내 로이버그씨는 우크라이나 출신으로 17세 때 미국 뉴욕으로 이민와 파슨스디자인학교에서 공부한 뒤 앤클라인, 제이크루 등 의류업체에서 디자이너로 일했구요지금의 프레쉬는 고가 브랜드이지만, 창업 당시에는 ‘24시간 주문 가능’ 팻말을 내걸고 매장과 집이 가까워 밤에는 재택근무를 하면서 주문 전화를 받았다고 해요. 로이버그씨는 아이에게 젖을 물리며 깜빡 졸다가도 전화벨이 울리면 주문을 받을 정도로 열악한 ‘가내 수공업’으로 시작했다고 하지요.

 

후각이 민감하고 섬세한 성격인 글레이즈먼씨는 모든 제품의 향과 질감을 결정했고, 색감이 뛰어난 아내 로이버그씨가 색조 메이크업 라인을 개발했다고 합니다. 글레이즈먼씨는 조향사로서 프레쉬의 베스트 셀러인 인덱스 라인을 개발하며 일명 쥴리아 로버츠 향수라고 알려진 ‘텐저린 리치 오드 퍼퓸’을 비롯한 유명 인기 제품을 탄생시키는데 성공했고, 로이버그씨는 그녀의 디자인 능력을 최대한 되살려 프레쉬의 시크한 제품 디자인과 메이크업 제품 개발에 주력하게 됩니다.

 

프레쉬의 컨셉트는 천연 재료를 사용해 몸에 좋고 자극이 없어 온 가족이 함께 사용할 수 있는 제품을 만드는 것입니다.회사 개업 후 3년간은 비누만을 생산하다가 차차 보디케어 제품 전반으로 종류를 넓혀나가는데요. 프레쉬는 업계 최초로 설탕, , 우유, , 엄브리안 클레이 등을 주 원료로 하여 적용시켰습니다. 각 나라의 민간 미용법을 수집하고, 고대 서적에서 알아낸 전통적인 치료법으로부터 많은 아이디어를 얻어 제품을 개발했으며, 이를 최첨단 기술과 결합시켜 화장품으로 재탄생시켰다는 것이지요.

 

가령 프레쉬의 라이스와 밀크 라인은 고대 서적에서 얻어낸 전통적인 방법의 원리를 이용해 제품 개발에 도입하였으며, 엄브리안 클레이 라인은 이태리 엄브리안 지역서 기원전 6세기경부터 사용돼 왔다는 것에 착안했다고 하네요. 프레쉬 라인중 가장 인기있는 슈가 라인의 경우에는 이들 부부가 태어난 러시아 지역에서 슈가가 안티 박테리아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상처에 난 부위에 치료용으로 사용해 왔던 것에서 영감을 얻었구요따뜻한 정종으로 세수하는 일본식 미용법을 응용한 ‘사케 베스’까지, 이 모든 것들이 프레쉬에게 성공을 안겨준 인기상품들입니다.

  

컨셉트는 가격에 상관없이 몸에 좋고 자극이 없는 제품을 만들자는 것이었구요. 부부가 설정한 프레쉬의 고객 타깃은 처음부터 대단히 구체적이었습니다. 도시에 사는 중산층 또는 상류층, 패션 혹은 시사잡지를 매달 읽을 만한 센스가 있으며 ‘맥도널드’나 ‘코카콜라’를 싫어하는 사람들. 주말에 ‘월마트’에서 일주일치 인스턴트 식품을 사놓는 대신 매일 동네 모퉁이 가게에서 빵 한쪽, 고기 한 줌을 사다 먹는 사람, 건강에 관심이 많지만 병적으로 집착하지는 않는 사람들이 바로 고객 타깃이었죠. 프레쉬의 본사가 있는 보스턴이 성공의 배경이 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보스턴은 소비수준이 높은 학원도시입니다. 프레쉬의 첫 제품은 5달러짜리 비누였어요. 비누 하나에 5달러라면 일반적인 미국인들은 고개를 내저었을 테지만 ‘몸에 좋은 무언가’를 찾고 있던 보스턴의 엘리트들은 쌍수를 들어 환영했지요. 마치 식품처럼 성분에 대한 설명이 빼곡히 적힌 프레쉬의 제품설명을 깐깐하게 읽고 있는 모습 자체가 특정 라이프 스타일의 표상처럼 부각됐다는 것이죠.

 

그 후 10년이라는 비교적 짧은 기간에 스킨&보디, 메이크업, 헤어, 프레그런스 등 머리에서부터 발끝까지 사용할 수 있는 제품들을 갖추었고, 집에서도 쉽게 아름다운 피부로 가꿀 수 있는 홈케어 제품을 선보이며 토털 코스메틱 브랜드로 자리 잡았습니다이들의 화장품 사업은 현재 보스턴의 뉴베리거리, 뉴욕의 매디슨 애비뉴와 스프링, 블리커 거리 등 동부의 유명 쇼핑가마다 점포가 들어서지 않은 곳이 없을 정도로 확대되었지요. 동부여피들 사이에서 프레쉬는 고가의 자연주의 화장품의 대표격으로 여겨지게 됐고 2000년에는 루이뷔통이 소속된 ‘LVMH’그룹이 제품연구, 유통 등에 ‘동업’관계를 요청해 와 계약했으며, 국내에도 Fnc코오롱과 LVMH그룹이 제휴한 한국판매법인 ‘스프루스코리아’를 통해 프레쉬가 개설되어 백화점 및 매장을 통해 판매되고 있습니다. 
 

참고자료 : 프레쉬(전화: 02-547-8985) 

여성동아 2005 9월호

국민일보 2002 10 28일자

데일리코스메틱  20077 28일자

동아일보 2002 10 31

로하스 물결을 타고, 유기농 화장품은 세계적으로 붐을 일으키고 있지만, 이제 겨우 도입 단계에 있는 국내 시장은 유기농 인증을 전적으로 해외 기관에 의존하고 있습니다. 유기농 화장품 인증으로 명성이 높은 해외기관은 프랑스의 에코서트(EcoCert), 영국의 소일 어소시에이션(Soil Association), 뉴질랜드의 바이오 그로(Bio-Gro), 호주의 ACO 등이구요. 미국 농무부(USDA)의 오가닉 인증도 여기에 포함됩니다.

[외국 화장품 관련 인증기관 현황 © 대한화장품협회]

'에코서트' 인증제가 대체 뭐죠?
에코서트는 EU규약에 의해 유기농 생산물을 감시하는 국제단체를 가리킵니다. 유기농식품, 환경생활용품, 화장품 등을 생산하는 기업들은 이 단체의 규약에 의거해 제품을 만들며 최종적인 검사를 거쳐 유기농 제품임을 입증하는 인증서를 받게 되지요. ISO 65에 따른 에코서트 인증은 상품 뿐만 아니라, 서비스, 시스템에 대해도 인증하는 제도인 것이구요. 1978년 Association of Organic Farming status로 시작해 현재 세계 15개국에 공식 사무실이 있고 전 세계 80개 국에서 인정되고 있습니다.

에코서트는 일반 제품에서 천연 제품을 분류해 소비자에게 인증된 천연 제품을 공급하는데 있고 완제품에서 에코서트 인증 받기 위해서는 모든 성분을 표기해야 하고 성분 표기는 포장지와 라벨지에도 해야 하며 에코서트 기준에 합당하는 최소량의 천연 물질이 함유돼야 합니다. 

에코서트 인증 종류는 천연 화장품의 경우 최소 5%이상 인증 받은 천연 성분이 함유 돼야 하고 천연 성분의 50%는 식물에서 유래해야 합니다. 반면 천연·친환경 화장품의 경우는 최소 10%이상 인증 받은 천연 성분이 함유 돼야 하고 천연 성분의 95%는 식물에서 유래해야 하지요. 즉 공통사항은 95% 함유 성분은 반드시 천연물질을 사용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천연에서 추출된 물질의 의미는 많은 기관에서 인증된 공정에 따라 자연에서 추출한 물질이며 인증된 공정은 반드시 친환경적이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산화, 알콜 첨부 및 방사선 처리 등은 친환경적이지 못하기 때문에 인증될 수 없습니다. 단 보관제 및 제품 생산 공정산 포함되게 되는 인공 합성 물질은 최대 5% 한도 내에서 포함 허용되구요.

에코서트 인증 불가 리스트는 인공합성 향수, 염색제, 실리콘, 글리콜. 카본화합물, 파라벤,페녹시에탄올, 암모니움, 인공 지방 알콜이나 지방산에서 유래한 제품, 프로필렌 글리콜등입니다.

에코서트 인증절차는 사전 질문서 제출, 생산현장 감사, 성분에 대한 조사, 위원회 감사로 이뤄지고 있는데요. 에코서트는 80개 국에 조사관이 있고 약 130여개 회사에 대해 에코서트 인증했으며 세계적으로 1만8000개 이상의 제품을 인증한 바 있습니다.

USDA 유기농 인증의 기준은요?
USDA 오가닉 인증마크는 미국 농무부(USDA)의 검사를 통과한 유기농 제품에 부착되는 품질 보증 마크입니다. 미국의 유기농 인증은 미연방 유기농 식품 생산법과 국가 유기농 프로그램 등의 규정에 따라 연방 정부가 주 정부와 민간단체를 인증기관으로 지정해 인증 및 사후 관리를 하는 시스템을 통해 이뤄지지요. 

미국에서 유기농 인증을 받으려면 수확 전 3년 동안 농약이나 제초제, 화학비료와 같은 화학합성물을 사용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물과 소금을 제외한 성분의 70% 이상을 유기농 원료로 제한하고 있습니다. 아울러, 물을 제외한 완제품의 전체 원료 중 95%가 유기농 이어야 합니다. 따라서 인체에 유해할 가능성이 있는 성분이 있어선 안되며 환경에 미치는 영향 또한 최소화해야 하기 때문에 가장 까다로운 유기농 인증으로 손꼽힌답니다.

반면, 에코서트는 5% 내에서 벤조산(Benzoic acid), 살리실산(Salicylic acid) 등의 보존제 사용이 가능한 것이 USDA와 차이점입니다. 또한, 에코서트 인증을 받은 제품에 유기농 성분의 함량 표시 규정이 없어 유기농 함량을 확인 할 수 없지요.

[에코서트와 USDA의 기준 © 대한화장품협회]

'Green Information > 친환경 생활용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참 쉬운 푸딩 만들기  (2) 2009.10.29
마크로비오틱 (Macrobiotic)  (0) 2009.10.29
친환경 브랜드 리뷰: 아베다 (Aveda)  (0) 2009.08.26
Th!nk Ox  (0) 2009.08.11
Whole Foods : Whole Paycheck  (0) 2009.07.01

+ Recent posts